You are viewing the documentation for a prerelease version. View Latest

웨이랜드 통신규약

웨이랜드는 그놈에서 기본값으로 소개되었던(작성시점에서) 표시 서버 통신규약입니다. 웨이랜드는 결과적으로 리눅스에서 기본 표시 서버로 X11을 대체 할 것이라 말하고 있으며 많은 배포판들이 웨이랜드를 구현하기 시작했습니다. 웨이랜드는 더 세련된 표시 통신규약이고 현재 더 작은 코드 기반을 갖고 있습니다. 웨이랜드는 아직 개발 중에 있고, 그리고 예상대로 동작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과 행위가 여전히 있으며, 당신은 일부 응용 프로그램이 웨이랜드에서 제대로 작동하도록 최신화되지 않았던 것을 찾을 수 있고 현재에도 이들 응용프로그램이 동작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웨이랜드 대신에 Xorg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몇몇 기존 시스템 응용프로그램과 게임을 포함합니다.

Wayland is enabled by default in the GNOME Desktop. You can choose to run GNOME in X11 by choosing the Gnome on xorg option in the session chooser on the login screen. Currently KDE still uses X11 and although there is a plasma-wayland session available, it is not considered stable or bugfree at this time.

Determining whether you are using Wayland

만약 웨이랜드에서 동작하기로 결정하는 한가지 방법은 변수 $WAYLAND_DISPLAY의 값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수행 하려면:

$ echo $WAYLAND_DISPLAY
wayland-0

만약 당신이 웨이랜드에서 동작하지 않으면, 변수는 어떤 값을 포함하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은 또한 세션 유형이 동작하는 것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도록 loginctl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loginctl show-session <YOUR_SESSION_NUMBER> -p Type

To determine your session number, simply typing loginctl should provide your session details.

There is also a legacy X11 server provided with Wayland for compatibility purposes. To determine what applications are running in this mode, you can run the following command:

$ xlsclients

There is also the lg (looking glass) tool in GNOME that will allow you to determine which protocol a specific window is using. To do this, you run the application by typing lg in the run dialog or at the command line, select “Windows”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tool, and click on the application name (or open window) you want to know about. If the window is running in wayland it will say “MetaWindowWayland” and if it is running in X11 it will say “MetaWindowX11”.

Additional Resources

To find out more about Wayland, please see the following website:

If you need to determine if an issue you are experiencing is related to wayland, see the Fedora wiki at the link below: